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8세기 영국 vs 프랑스 귀족 제도 비교

by mynote7713 2025. 4. 4.

유럽의 18세기는 많은 국가에서 계급 구조에 기반해 사회가 돌아가던 시기였습니다. 영국과 프랑스 역시 귀족 제도를 바탕으로 정치 및 사회 구조를 형성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18세기 두 나라의 귀족 작위 체계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프랑스와 영국의 공작 이미지 입니다.

영국 귀족 제도의 구조와 특징

18세기에 영국의 귀족 제도는 매우 엄격한 계층 구조를 유지했습니다. 작위는 기본적으로 군주가 수여해주며 한번 수여된 작위는 대개 후대로 세습됐습니다. 주요 작위를 높은 순으로 나열하자면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이 있으며 영어 명칭은 각각 Duke, Marquess, Earl, Viscount, Baron입니다. 이들은 통칭 피어라고 부르는데 피어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귀족원의 구성원이었습니다. 작위가 세습됐기 때문에 피어의 정치적 권한도 계승됐습니다. 이러한 권한 및 작위의 세습은 법적으로 정교하게 규정됐습니다. 그래서 작위 상속은 대부분 장자상속법에 따라 이뤄졌고, 여성은 작위를 상속할 기회가 법적으로 매우 희박했습니다. 이런 문제가 19세기까지 이어져 유명한 제인 오스틴 작가의 오만과 편견에서 베넷가의 다섯 자매가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살던 집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하는 것입니다. 귀족 작위를 상속하면 작위에 따른 정치적 권한뿐 아니라, 경제적 부, 대지 소유권을 통해 농민들을 통제하는 권한도 함께 상속됐습니다. 귀족들은 이를 통해 사회적 위계를 공고히 했습니다. 또한 귀족 신분은 공직에 진출하거나 양질의 교육을 받는데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결혼 시장에서도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이렇듯 귀족 작위는 대개 세습됐지만, 공로를 인정 받아 작위를 받는 경우도 매우 드물게 있긴 했습니다. 그러나 18세기 영국에선 어디까지나 혈통이 가장 중요했습니다.

프랑스 귀족 제도의 구조와 특징

18세기 프랑스의 귀족 제도는 영국과 유사하면서도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프랑스 귀족은 크게 검의 귀족법의 귀족으로 나뉘었습니다. 검의 귀족은 중세부터 무력을 바탕으로 형성된 전통 귀족층을 일컫습니다. 이들은 중세 봉건 시대에 실질적인 지역 통치권과 군사력을 가지고 왕에게 봉사한 자들로 18세기로 오면서 이런 행정적, 군사적 권한이 크게 축소됐습니다. 법의 귀족은 왕실 관직을 구입하거나 법률 및 행정 분야에서 출세한 계층으로 검의 귀족과 비교했을 때 신흥 귀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귀족 작위를 받을 수 있었고, 작위도 승계할 수 있었습니다. 프랑스의 주요 작위를 위계가 높은 것부터 나열하자면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이 됩니다. 검의 귀족이든 법의 귀족이든 일정 조건을 만족하고 왕의 인정을 받으면 이런 작위를 수여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작위가 없어도 귀족 대우를 받을 수는 있었습니다. 한마디로 작위 보유자는 모두 귀족이지만 모든 귀족이 작위를 가진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귀족제는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며 급격히 몰락했습니다. 혁명으로 인해 귀족의 법적 특권이 폐지됐고, 작위 자체가 의미를 잃기 시작했습니다.

영국과 프랑스 귀족 제도의 차이

영국과 프랑스의 귀족 제도는 겉보기에는 유사해 보이지만 몇 가지 측면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입니다. 먼저 작위 수여 방식에서 차이가 있었습니다. 영국은 철저하게 세습을 통해 작위가 이어졌고 이는 법률적으로 뒷받침됐습니다. 이것이 오랫동안 귀족제를 유지하며 왕정과 의회 사이에 균형을 이루도록 이바지했습니다. 프랑스는 영국보다 유동적인 구조를 가졌습니다. 법의 귀족이 등장한 것처럼 관직을 매매하거나 학문적 공로 또는 행정적 공로를 세우거나 왕실 재정에 기여하는 등의 방식으로 귀족으로 편입될 수 있었습니다. 세습이 지배적인 영국과 비교하면 프랑스가 계층 구조에 훨씬 높은 유동성을 보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귀족의 사회적 역할이 달랐습니다. 영국 귀족들은 정치에 참여해 국가를 운영하는 데 직접 관여했습니다. 반면 프랑스 귀족들은 절대왕정의 중앙 집권화로 정치 참여가 제한적이었습니다. 이들은 정치적 권력보다는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라는 특권을 누렸습니다. 이는 귀족의 존재 의미와 역할이 두 나라 간에 달랐음을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계층 구조의 존속 여부도 달랐습니다. 프랑스의 계층 구조는 프랑스 혁명을 계기로 붕괴해 버렸지만, 영국의 계층 구조는 의회민주주의와 함께 존속했습니다. 이에 따라 두 나라의 귀족 제도는 전혀 다른 역사적 궤적을 걷게 됐습니다.

결론

18세기 영국과 프랑스의 귀족 제도는 오늘날 두 나라의 정치 및 사회 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두 나라의 현재를 더 깊이 있게 이해하려면 당시의 사회 구조를 살펴보는 게 도움이 됩니다.